성남시 ‘깡통전세 피해 예방 상담센터’ 운영

백주희 기자 | 기사입력 2023/03/29 [10:51]

성남시 ‘깡통전세 피해 예방 상담센터’ 운영

백주희 기자 | 입력 : 2023/03/29 [10:51]

▲ 성남시 홈페이지에 개설한 ‘깡통전세 피해 예방 상담센터’ 배너 광장 화면 캡처(오른쪽 가운데)  

 

성남시는 시 홈페이지에 ‘깡통전세 피해 예방 상담센터’ 배너 광장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.

 

신축 다가구·연립·다세대주택의 가격이나 선순위 권리관계 등을 제대로 알지 못해 발생하는 깡통전세 등 임차인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다.

 

깡통전세는 집값보다 전세보증금 등 부채가 더 많아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다 돌려주지 못하는 주택을 말한다.

 

집값 상승을 기대한 집주인의 무리한 은행 대출, 시세가 비교적 투명하지 못한 신축 빌라를 대상으로 한 건축업자와 분양업자의 연결고리 등으로 최근 피해가 늘었다.

 

이에 경기도와 한국감정평가사협회,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‘신축 다가구주택 등 임차인 보호에 관한 업무협약’을 하고, 성남시 등 31개 시·군 시민이 상담받을 수 있는 온라인 창구를 마련했다.

 

상담을 원하는 시민은 성남시 홈페이지 중간에 배치된 깡통전세 피해 예방 상담센터를 접속해 주택정보 등을 입력하면 된다.

 

깡통전세 유형과 예방법을 알 수 있고, 성남지역에 배정된 감정평가사와 유선으로 주택의 적정한 가격 등을 상담받을 수 있다.

 

임대차 계약 때 확인해야 할 사항과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제도도 안내한다.

 

시 관계자는 “깡통전세는 주택가격이 공시되기 전 집주인(임대인)이 전세보증금을 높게 설정해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공시 전 주택가격을 미리 상담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”고 말했다.

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
내용
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,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
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광고
가장 많이 읽은 기사
성남시, 풍수해 대비 옥외광고물 안전 점검 / 백주희 기자
성남시, ‘청소년을 위한 진로 진학 프로젝트’ 시작 / 백주희 기자
성남동부새마을금고, 폭염취약계층 위해 선풍기 470대 기탁 / 백주희 기자
성남시장애인가족지원센터, 6월 야간 돌봄반 신설 운영 / 백주희 기자
성남시, 1,575억 제2회 추경 편성…보수보강공사 등 시민 안전 예산 517억 / 백주희 기자
경기도, 6월 3~4일 반려동물 인식개선을 위한 ‘펫스타’ 개최 / 성남N
약효 보증기간 6개월 지난 제초제 보관 등 경기도 특사경, 농약 유통업체 불법행위 41곳 적발 / 성남N
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광역여성새일센터, 성공적인 외식창업을 위한 실무 아카데미 교육생 모집 / 성남N
성남시청년봉사단 발대식 열고 ‘지역 지킴이’ 활동 본격 시작 / 백주희 기자
2023년 ‘경기도 청년기본소득’, 6월 1일부터 2분기 접수 / 성남N
광고